반응형 사자성어2 간군오의(諫君五義) 공자는 충성스런 신하가 임금에게 간하는 다섯 가지 방법을 말했다. 이를 간군오의라 함. 1. 휼간(譎諫) : 넌저시 돌려서 간하는 것 2. 장간(戇諫) : 꾸밈없이 솔직하게 간하는 것 * 어리석을 장,어리석을 당으로 발음할수 있으나 간와 붙여쓸때는 장간 이라 발음하고 있음 3. 강간(降諫) : 자신을 바싹 낮추어 엎드려 간하는 것 4. 직간(直諫) : 앞뒤 가리지 않고 곧장 찔러 말하는 것 5. 풍간(諷諫) : 우회적으로 비유 혹은 풍자하여 말하는 것 공자가어(孔子家語)" '변정(辨政)'편 골계열전[滑稽列傳]의 골계가로 유명한 제나라출신의 외교관 순우곤이 임금에게 간한 상기 방법중 3가지예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골계는 익살스러운 언행으로 웃음을 자아내게 한다는 뜻) (휼간의 예) 위왕이 술과 여자로 .. 2018. 11. 9. 각주구검(刻舟求劍),정인매리(鄭人買履) 刻 새길 각 舟 배 주 求 구할 구 劍 칼 검 어리석고 융통성없는 사람을 비유하는 말이다. 여씨춘추에 나오는 다음 이야기에서 유래했다. 전국시대 초나라의 한사람이 배를 타고 강을 건너가게 되었다. 그는 실수하여 값비싼 보검을 강물에 빠뜨리게 되었다. 주위사람들은 배를 멈추게 하고 강물속 검을 찾으라고 충고했다. 하지만 그는 느긋하게 뱃전에 금을 한줄 새기고 다음과 같이 말했다 "바로 이자리가 검을 강에 떨어뜨린 곳이니 이곳만 알면 나중에 어렵지않게 검을 찾을 것이오." 배가 강기슭에 도착하자 그는 자신의 검을 찾기 시작했다. 당연히 검은 찾을수없었고 그는 사람들의 웃음거리가 되었다 鄭 나라이름 정 人 사람 인 買 살 매 履 신 리 '정나라사람이 신발을 사다'는 실제적 상황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틀에 박힌.. 2018. 11. 9. 이전 1 다음